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공기관

(2)
직무급의 한계 그리고 내부직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방향성 지난 글은 직무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3.02.11 -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 요즘 직장인들의 최대관심사 '직무급' 그것이 알고싶다 요즘 직장인들의 최대관심사 '직무급' 그것이 알고싶다 최근 직장인들 사이 특히 공공기관에서의 큰 이슈는 직무급 도입입니다. 직무급이란 말 그대로, 직무에 따라서 월급을 주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직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후 등급에 따라 연봉 deathkeeper.tistory.com 직무급에 대한 희망과 긍정적인 부분에만 초점을 맞췄는데 직무급 전환만이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상방식이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직무급은 미국의 노사관계 속에서 오랜 세월을 거쳐 선택된 제도일 뿐이지, 어떤 상황에서도 최적인 보상방식이 될 수는 없습니다. 1.한계 직무급은 직무의 상대..
요즘 직장인들의 최대관심사 '직무급' 그것이 알고싶다 최근 직장인들 사이 특히 공공기관에서의 큰 이슈는 직무급 도입입니다. 직무급이란 말 그대로, 직무에 따라서 월급을 주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직무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후 등급에 따라 연봉이 정해진 다는 것이 신선하고 파격적으로 느껴집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직장구조는 오랫동안 사람을 중심으로 인사관리가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어떤 일을 하는가’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어떤 사람이 일을 하는가’ 맞춰 직원을 뽑고 보상을 하는 방식이죠 최근 국내에서도 금융, R&D 등 일부 영역에는 직무 중심 노동시장이 형성되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직무급이나 직무기반 인사는 서구기업의 트렌드로 인식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서구기업에서는 왜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바탕으로 급여를 결정하는 직무급이 정착되었을까? ..

728x90